autowired (1)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의존성, 의존관계 주입(DI) 대체 무슨 말일까? 생짜 자바코드에서 스프링으로 넘어올 때 가장 정신이 혼미해지는 구간이다. 의존성? 의존관계? 주입? 이 단어의 나열부터가 상당히 난해하다. 스프링 컨테이너, IoC 컨테이너, 어노테이션까지는 확실히 기존 생짜 서블릿 코드보다 확실히 편해진것같은데 여전히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이 와닿지 않는다. 모든 지식이 그러하듯, 막상 이해하면 별개 없다. 의존성, 의존관계 주입에 대해 알아보자. 보통의 스프링 프로젝트는 데이터를 컨트롤하는 레포지토리(매퍼, 다오 등), 클라이언트에게 던지는 서비스, 이를 클라이언트에게 연결해주는 컨트롤러로 구성 돼 있다. 샘플 레포지토리에서 끌어온 데이터를 서비스단에 던진다고 가정해보자. 빈 객체 및 레포지토리 예제의 편의상 VO 등은 생략한다. public class SampleDT.. 이전 1 다음